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4·3 학살의 주역 박진경 제주 땅에서 더 이상 추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지난 4월 28일 제주민예총을 비롯한 16개 시민사회 단체는 제주도민 모두를 ‘빨갱이’로 간주해 대학살을 자행한 박진경 추도비에 ‘역사의 감옥’ 조형물을 설치했다.

제주보훈청은 20일 ‘역사의 감옥’에 가둔 박진경 추도비 조형물을 강제 철거했다.

이에 제주민예총은 “제주 4·3의 정의로운 해결을 바라는 도민들의 염원이었다”며 “박진경 대령은 부임 직후 제주도민 30만명을 희생시켜도 무방하다”고 말하며 제주도민에 대한 무차별 토벌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제주민예총은 ”부임 한 달 만에 붙잡힌 포로만 6천여 명이었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당시 토벌작전이 얼마나 무차별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며 ”토벌작전의 공로로 박진경은 대령으로 진급했고 문상길 중위와 손선호 하사 등이 박진경을 암살한 이유 역시 그의 무자비한 토벌 작전 때문이었다“고 강조했다.

제주민예총은 ”역사의 정의가 바로 세워졌다“면 ”박진경은 추도의 대상이 아니라 학살의 주범으로 단죄를 받아야 마땅하다. 1952년에 세워진 박진경 추도비는 박진경의 무자비한 토벌과 암살의 경위는 외면한 채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훈의 대상이 되어야 할 사람이 있다면 박진경이 아니라 박진경의 명령에 의해 학살당한 제주도민들“이라며 ”제주보훈청이 정의로운 역사를 외면했기에 제주민예총은 시민단체들과 손을 잡고 박진경을 ‘역사의 감옥’에 가뒀다. 하지만 제주보훈청은 이를 불법 조형물로 간주해 강제 철거했다. 이는 정의로운 역사와 진정한 보훈의 의미를 망각한 반역사적인 행위“라고 비난했다.

제주민예총은 ”대통령이 국가폭력에 대해 이미 사과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살자는 여전히 보훈의 대상이 되고 있는 현실은 제주 4·3의 정의로운 해결이 미완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하며 ”4·3의 해결은 윤석열 정부도 공언한 바 있다“고 주위를 환기시켰다.

제주민예총은 ”역사를 과거로 되돌리는 제주보훈청의 결정을 규탄하며 4·3의 정의를 바로세우기 위한 ‘역사의 감옥’ 운동을 계속할 것을 천명한다“며 ”4·3학살자 박진경을 비호하는 제주보훈청장은 4·3 영령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하고 4·3학살자 박진경 비호하는 제주보훈청장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도 성명을 내고 ”소위 박진경 추도비 ‘역사의 감옥’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진행했다“며 ”제주도 산하기관인 제주보훈청은 도의회 의견마저 무시한 채 지금의 자리로 박진경 추도비를 일방적으로 이설하면서 갈등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근본적으로 4·3 학살의 주역 중 하나인 박진경 추도비를 제주 땅에 다시 기억하라고 양지바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그것이 제주보훈 행정의 태도인지 납득하기 어렵다“며 ”우리가 박진경에 대한 단죄의 의미를 담은 역사의 감옥을 설치한 이유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역사적 단죄의 의미를 담은 이 설치물을 철거하는 행위는 행정의 잣대“라며 ”하지만 우리는 이념적 갈등이 아니라 최소한 제주 땅에서 4·3 학살의 주역 중 하나인 박진경을 추도하는 시설물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