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향토사학자 일제강점기 연구자들 연대와 커뮤니티 조성 필요
일본인 향토사학자 “제주도 지방정부차원 이번 조사 큰 의미”부여...심리적인 연대와 힘 보태
사망자 명단 확인 못한 유족들 비롯 발견되지 않은 유골 규슈.오키나와 지방 다수 존재 사실 확인...강제동원 추도비, 추모비, 위령비 등 세워져 있지 않는 지역도 확인

조선인 돌무덤과 일본인 납골묘가 대조되고 있는 모습. 살아서도 죽어서도 버려진 조선인.(사진제공=고병수 기자)

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강제동원 현황 및 실태조사를 통해 ‘기초 데이터’의 확보와 ‘기억의 전승’을 통한 사실전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데이타는 국가기록원 자료 이외에 일본 재야향토사학자들에게 사망자 등 명단이 일부라도 남아 있는 것을 연구진은 확인했다는 것. 이에 제주도정의 명단 확보 노력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인맥과 방문조사로는 이들 일본인 재야 항토사학자와 연대, 커뮤니티 조성을 통해 일제강점기 제주인의 역사적 자료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은 과거, 우리 민족이 그리고 우리 제주도 출신이 겪었던 ‘수난의 역사’로 다시는 되풀이 되지 않아야 하는 역사적 사건이다.

또한 미래지향적인 한일 양국 간의 발전적인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라는 평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앙 정부 차원의 강제동원 관련 조사 및 연구는 2015년 12월 소위 ‘한일 위안부 협정’으로 중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공동 연구원인 고광명 박사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중단된 사업을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제주도 지방정부 차원에서 조사를 행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이라며 “지방 정부 차원의 조사에 있어서 중요한 점을 연구 수행자는 우선 ‘기초 데이터’의 확보와 ‘기억의 전승’을 통한 관련 사실의 전파로 제시하고 싶다”고 말했다.

일본 재야 향토사학자도 제주도의 지방정부차원의 이번 조사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심리적인 연대와 힘을 보탰다.

실태보고서에서 제언을 통해 ‘기초 데이터’의 확보를 요청했다.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강제동원 관련 자료 중 ‘제주인’ 관련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시급하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이 이미 제공한 자료가 아닌, 보다 업그레이드된-화질이 좋은-자료의 입수가 물론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기억의 전승’이다.

근현대사 강제동원을 직접 경험한 피해자들은 대부분 사망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들의 경험담을 직접 청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이 겪은 강제동원의 피해는 이들을 통해 이미 그들의 자손들에 일정하게 전파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그 내용은 매우 한정적인 내용일 것임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을 통해 그 자손들이 알고 있는 강제동원의 피해를 조사하는 작업은 ‘기억의 전승’이라는 차원에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제동원을 알지 못하는 ‘어린 제주인’들에게 ’기억의 전승’ 또는 일반인 차원의 ‘역사의 계승’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실태조사는 분석했다.

한편 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강제동원 및 실태조사(九州·沖縄편)에서 일본 8개현 현지조사를 수행하면서 그 당시 억울하게 돌아가신 선조들의 원혼을 달래는 의미에서 규슈.오키나와 지방에 있는 추모비, 추도비, 위령비 등 36개 현장을 찾아 재일조선인 관련 비(碑) 현황을 파악했다.

오키나와(沖縄)현 평화기념 공원에 있는 평화의 초석(刻銘者名簿)에서 제주도 출신이 일부 포함된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오사카에서 오키나와로 강제 연행된 제주도 출신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었는데 미군에 의해 포로로 잡혀서 생존한 사실도 확인했다.

순직산업인명부(殉職産業人名簿)에서 제주도 출신 1명의 사망한 명부를 찾아냈다. 명부에는  연행연월, 사업소(기업), 성명, 나이, 유족(성명 등), 본적지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됐다.

그리고 아직도 사망자 명단을 확인하지 못한 유족들을 비롯해 발견되지 않은 유골이 일본 규슈.오키나와 지방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강제동원 관련 비(추도비, 추모비, 위령비 등)가 세워져 있지 않는 지역이 있는 것도 확인했다.

특히 규슈/오키나와 등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지방본부가 보관하고 있는 재일한인(재일제주인)에 대한 소중한 자료(국민등록갱신·신규신청서)’ 을 원본 복사, 사진 스캔 등의 방법을 통해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강제동원과 관련된 상황을 좀 더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오키나와(沖縄)현 평화공원에 각명되어 있는 피해자에 대해 일본인이나 대만 등 우호 국가 사망자들은 생년월일, 출신지 등이 기재되어 있으나 당시 조선인 출신들은 생년월일, 출신지 등이 미 기재됐다. 이들 중 제주인도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제주도와 오키나와 지방정부간 협약 등 선제적인 행정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노무현 정부 당시 피해보상을 위해 제주도민들이 작성해 신청한 자료 등이 국가기록원에 보관되어 있는 것을 사본만이라도 제주도에 반환되도록 시도해 소중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국가기록원이 보내 준 자료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나 이도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광명 박사는 “아직까지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에 대한 인식이 변하지 않아 일본에서 이를 연구하거나 활동하는 일본인 연구자나 시민단체 회원 등의 제약이 상당한 것으로 판단돼 이들과의 네트워크 조성 등 연구여건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