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수산당국, 신항만 등 확충 절실 읍소...동향파악도 안된 한심한 수산정책 도마에

항구 포화가 제기된 멀리서 바라본 제주항 모습.

제주항 포화가 현실화돼 신항만 등 제주항 확충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제주수산당국이 선박의 대형화 추세 등을 사전 미리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

관계자는 “갑작스런 선박 대형화가 이뤄질지 예측못했다”고 시인하며 “항만시설 등 하드웨어시설이 당초계획보다 주민반대 등으로 더딘 것도 한 몫 했다”고 말했다.

제주도 수산당국은 제주외항의 미 개발 구간을 당초보다 5년정도 앞당겨 개발하는 등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물동량 등 항만 관리 및 선박 대형화 등 업계동향도 파악 안되 대처도 못한 한심한 수산정책을 폈다는 것,

또한 철저한 모니터링과 분석 등도 안되어 항만확충시기도 일부 놓치는 등 안이한 항만계획 등 문제점도 노출돼 도마에 오르게 될 전망이다.

제주도 전체물류 중 항만을 이용한 해상물류 비중이 작년 기준 98%를 차지해 해상물류의 중요성하고 이 중 제주항이 78%를 처리하고 있다.

특히 “제주-부산”간 항로재개와 관련해 선박이 접안할 부두가 없어 운항개시가 14일간 지연됐다는 것.

제주항에는 총 25개의 부두가 있으나 이미 모든 부두를 선박들이 사용해 이번 “제주-부산”항로에 투입된 5,6천톤급톤 여객선 2척은 다른 선박과 부두를 같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의 해결을 위해 선사간의 합의를 이끌어 냈다는 후문이다.
 
이는 선박 대형화 추세로 2015년 1만5천톤급 여객선 2대가 취항해 기존부두의 길이가 짧아 부두 확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

또한 제주대학 실습선 3천톤급 1척 등의 관공선이 신규증가 될 예정에 있어 동 선박이 접안할 부두확보가 시급하다고 道는 밝혔다.

특히 최근 제주도 인구 및 크루즈관광객의 폭발적인 증가 및 건설경기 활성화 등과 맞물려 에너지 취급부두 등 해상물류에 필요한 부두확보는 무엇보다 절실한 상황으로 현재여객수송 차질과 물류대란에 직면하고 있다고 道는 읍소했다.

이에 따라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현재 제주외항 2단계사업(현재 여객부두 등 총 4선석 운영중 → 화물부두 2선석 및 관공선 부두 등 추가)을 추진 중에 있으며 해양수산부에서는 올해 말 고시를 목표로 제주신항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제주신항은 타당성조사, 설계․보상 등 약 5년 후 공사가 착공될 예정으로 2030년까지 크루즈부두 등 여객부두 13선석 신설한다.

관계자는 “제주도의 물류는 항만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제주항의 부두개발이 계획대로 추진돼 제주도 경제발전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도록 시급한 제주항의 부두개발에 제주도민 모두의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